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
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 때 장바구니에 '트럼프 관세 추가 요금' 항목이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설정했다. /사진=Dame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 일부 기업들은 가격 인상을 발표하며 소비자에게 관세를 전가하는 움직임을 보인다.11일(현지시간) CBS 뉴스는 "관세 조치가 아직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미국 기업들은 기다리지 않는다"며 일부 기업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이유로 미리 가격 인상을 발표하거나 향후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고 보도했다.미국 섹슈얼 웰니스 브랜드 데임(Dame)은 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 때 장바구니에 '트럼프 관세 추가 요금' 항목이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설정했다. 추가 요금은 처음에 5달러로 책정됐으나 이날 기준 1달러로 내려갔다. 알렉산드라 파인 데임 최고경영자(CEO)는 CBS에 "대부분 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해 가격 책정 방식을 분석하고 있다"며 "우리 업계 전체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관세)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인은 조용히 가격을 올리기보다 고객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투명하게 알리고 싶어 별도 항목 추가 방식을 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것이 우리에게 부과되는 추가 세금이라는 점을 사람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한 결정"이라며 "정치적 결정에 따른 가격 인상이라는 점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건물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는 하니웰 빌딩 오토메이션은 지난달 초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신규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하니웰은 자사 건물 관리 시스템에 '관세 추가 부과금' 6.4%를 부과한다며 이러한 조치가 "관세 영향 완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니웰은 해당 관세가 발효되지 않는 즉시 가격 인상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에서 물건을 들여오는 미국 패션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이탈리아에서 제작되는 고급 신발을 판매하는 라부크(Labucq)는 3주 간격으로 가격을 10%씩 총 20% 인상한다고 밝혔다. 미 의류 브랜드 미스타(Miista)와 핸드백 소매업체 하이어 굿즈 등도 가격을 20%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2일 EU 수입품에 20%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다만 상호관세가 90일 유예됨에 따라 이들 업체의 가격 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 때 장바구니에 '트럼프 관세 추가 요금' 항목이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설정했다. /사진=Dame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 일부 기업들은 가격 인상을 발표하며 소비자에게 관세를 전가하는 움직임을 보인다.11일(현지시간) CBS 뉴스는 "관세 조치가 아직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미국 기업들은 기다리지 않는다"며 일부 기업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이유로 미리 가격 인상을 발표하거나 향후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고 보도했다.미국 섹슈얼 웰니스 브랜드 데임(Dame)은 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 때 장바구니에 '트럼프 관세 추가 요금' 항목이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설정했다. 추가 요금은 처음에 5달러로 책정됐으나 이날 기준 1달러로 내려갔다. 알렉산드라 파인 데임 최고경영자(CEO)는 CBS에 "대부분 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해 가격 책정 방식을 분석하고 있다"며 "우리 업계 전체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관세)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인은 조용히 가격을 올리기보다 고객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투명하게 알리고 싶어 별도 항목 추가 방식을 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것이 우리에게 부과되는 추가 세금이라는 점을 사람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한 결정"이라며 "정치적 결정에 따른 가격 인상이라는 점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건물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는 하니웰 빌딩 오토메이션은 지난달 초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신규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하니웰은 자사 건물 관리 시스템에 '관세 추가 부과금' 6.4%를 부과한다며 이러한 조치가 "관세 영향 완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니웰은 해당 관세가 발효되지 않는 즉시 가격 인상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에서 물건을 들여오는 미국 패션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이탈리아에서 제작되는 고급 신발을 판매하는 라부크(Labucq)는 3주 간격으로 가격을 10%씩 총 20% 인상한다고 밝혔다. 미 의류 브랜드 미스타(Miista
온라인에서 고객이 제품을 결제할